
최근 노인들을 속여 무려 1228억 원에 달하는 돈을 세탁한 대포통장 조직이 검거되었다는 충격적인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월급을 주겠다’는 달콤한 말로 유혹해 유령법인을 세우고 범죄에 이용했다니, 정말 남의 일 같지 않죠?
자칫하면 우리 부모님도 피해자가 될 수 있다는 생각에 아찔하기만 합니다.
범죄 조직의 수법
사기 조직의 범죄 수법
🔹 설립: 노인 명의로 유령법인 설립
🔹 개설: 법인 명의 대포통장 개설
🔹 세탁: 보이스피싱 자금 세탁
이번에 검거된 조직은 정말 치밀하고 악랄한 방법을 사용했습니다.
먼저 생활이 어려운 노인들에게 접근해 "매달 월급처럼 돈을 주겠다"며 신분증과 인감증명서를 받아냈다고 해요.
그리고는 그 명의를 도용해 수십 개의 유령 법인을 만들고, 법인 명의로 대포통장을 수백 개나 개설하여 보이스피싱 조직의 범죄 수익금을 세탁하는 창구로 사용한 것입니다.

피해 노인들은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범죄의 공범이 되어버린 셈이죠.
나도 모르게 범죄자?
명의 대여의 위험성
🔹 금융 제재: 모든 금융거래 제한
🔹 민사 책임: 범죄 피해액 배상
🔹 핵심: '나는 몰랐다'는 변명 불가
가장 무서운 점은, 명의를 빌려준 사람 역시 처벌을 피할 수 없다는 사실입니다.
단순히 통장이나 신분증을 빌려준 행위만으로도 '전자금융거래법'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또한, 대포통장이 범죄에 사용될 경우 모든 금융 거래가 중지되는 것은 물론, 범죄 피해액에 대한 민사상 손해배상 책임까지 져야 할 수 있습니다.

결코 가볍게 생각할 문제가 아니랍니다.
피해 예방 꿀팁 3가지
금융사기 예방 수칙
🔹 의심: 쉬운 고수익 제안 경계
🔹 확인: 정상적인 회사인지 확인
🔹 신고: 의심되면 즉시 112 신고
그렇다면 어떻게 이런 끔찍한 금융 사기를 예방할 수 있을까요?
몇 가지 중요한 수칙만 기억해도 큰 피해를 막을 수 있습니다.
| 핵심 수칙 | 행동 요령 |
|---|---|
| 개인정보 사수 | 어떤 경우에도 신분증, 통장, 공인인증서를 타인에게 빌려주지 마세요. |
| '세상에 공짜는 없다' | '명의만 빌려주면 고수익' 같은 비정상적인 제안은 100% 사기입니다. |
| 의심하고 또 의심 | 채용을 빙자할 경우, 정상적인 회사인지 확인하고 의심되면 즉시 경찰(112)이나 금융감독원(1332)에 문의하세요.
![]() |
위 표의 내용처럼, 내 개인정보는 내가 지킨다는 생각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특히 어르신들께는 주변의 관심과 도움이 절실히 필요합니다.
🔹🔹🔹
지금 바로 부모님과 주변 어르신들께 이 글의 내용을 공유하고, 비슷한 제안을 받은 적은 없는지 꼭 여쭤보세요.
당신의 작은 관심이 소중한 가족을 지키는 가장 큰 힘이 될 수 있습니다. 🙏
#대포통장사기 #노인금융사기 #보이스피싱예방
